Lv.6
Lv.6
Lv.6
Lv.6
Lv.6
Beusable Forum dreams of a world where anyone can freely read and use data!
Share your experiences and discuss
practical tips, trends, and more.
코드는 설치되어 있는데, PV가 수집되지 않아요
리포트가 실행 상태이나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거나, 매우 적은 데이터가 수집되는 이슈에 대한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코드는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으나, PV가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 케이스 - 등록하신 페이지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발생 시킨 다음, 1-2시간 후에 리포트에 반영되는지 확인해보세요 데이터 수집에는 문제가 없다면 매치유형, 등록하신 페이지의 URL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2. 코드는 설치되었으나, 오탈자가 있는 케이스 - 코드가 잘못 설치되어 있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집되기 어려울수 있습니다.코드의 정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코드 설치 확인 가이드를 참고해 주세요! :) 코드 설치 확인 가이드: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883 2-1. uid에 대한 확인 필요- 뷰저블의 코드는 발급된 계정마다 uid가 발급됩니다.현재 사이트에 설치된 코드가 내 계정으로 발급된 코드가 맞는지 비교해보세요.실제로 설치된 코드뷰저블 대시보드에서 확인된 코드 2-2. 코드 내 오탈자로 인한 설치 오류 - 설치된 코드에 오탈자로 인하여 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가급적 코드는 대시보드에서 확인된 상태로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설치해주시길 바랍니다. #Case 1. beusablerumclient의 앞 뒤로 언더바가 생략되어 있음 #Case2 . x-x-x와 같은 알수 없는 문자가 삽입됨 3. SPA페이지 이슈- SPA 구조로 제작된 사이트라면 반드시 대시보드에서 SPA토글을 켜주세요! 그래야만 페이지 단위로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SPA설정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도 함께 참고 부탁드립니다. SPA페이지 설정 가이드: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1046 4. 매치유형 이슈 - 뷰저블의 UX Heatmap은 매치유형에 따라 데이터 수집 범위가 설정됩니다.혹시 설정하신 매치유형이 제한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매치유형 설정 가이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 드리고 있습니다. 매치유형 설정 가이드: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732 또 등록한 URL과 실제 랜딩 URL 일치 여부 및 설정한 매치 타입이 해당 URL을 포함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다른 URL로 리디렉션 또는 문자 변환이 일어난 것은 아닌지 확인해 주세요. 5. 리포트의 상태로 인한 수집 불가 : 분석 종료/일시정지/정지된 리포트 - 리포트가 분석종료/일시정지/정지 상태라면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으므로 데이터가 훨씬 적게 수집될 수 있습니다.- 만약 분석 종료라면 새로 등록해주셔야 하며, 일시정지라면 PV충전 혹은 플랜 갱신이 필요합니다! 리포트 분석 상태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도 함께 참고해주세요! 대시보드의 분석 상태 이해하기: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1587 6. 리포트의 상태로 인한 수집 불가 : 분석 시작일이 도래하지 않은 케이스설정된 분석 시작일 이전에는 트래킹 코드 설치 확인 불가합니다. 분석 시작 이후 확인해 주세요. 7. URL 뒤에 슬래시(/) 포함 여부 확인하기도메인은 슬래시(/) 여부가 무방하도록 처리되어 있으나, Path는 뒤에 슬래시(/) 여부를 체크합니다.(e.g. 등록된 페이지 URL : https://www.beusable.net/ko 코드가 설치된 페이지 URL : https://www.beusable.net/ko/) Exact, Simple URL Match 의 경우)도메인 URL 등록 시 자동으로 끝에 슬래시(/) 붙어 페이지 등록됨 도메인 URL인 경우에는 끝의 슬래시 여부 관계 없이 코드 설치 확인 가능하며 데이터 수집 또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예시] https://www.beusable.net 을 등록하더라도 https://www.beusable.net/로 페이지 등록되며 Exact 매치더라도 https://www.beusable.net로 접속한 사용자 데이터도 정상적으로 수집 URL Path 뒤에 슬래시가 붙는 경우)끝의 슬래시 여부에 따라 코드 설치 확인 및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줌[예시] 실제 URL이 https://www.beusable.net/tool/ 일 경우 https://www.beusable.net/tool로 등록 시 정상적인 데이터 수집이 안됨
다른 서비스와 수집된PV에서 차이가 나고 있어요
기본적으로 분석툴은 서로 데이터 수집 기준이나 표현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PV 수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다음 사항에 대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1. 비교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대상 확인 - 사이트에 설치한 코드가 2022년 8월 이전 발급된 (구) 코드인 경우, 수집한 PV가 페이지 단위인지, 도메인 단위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구) 코드는 서브 도메인의 차이에 따라서도 리포트가 분리되므로, 비교하고 있는 분석툴에서 모든 서브 도메인을 포함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하여, (구) 코드를 완전히 삭제하시고 신규 통합코드로 교체/설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 매치 타입에 따른 수집 범위 확인 - UX Heatmap은 등록 URL과 매치유형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Exact 매치 등 일부 case의 URL이 제외되는 매치유형인지에 대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3. 다른 분석툴의 데이터 중복 수집 여부 - 코드가 중복처리 되지 않아 코드가 여러개 있을 경우 데이터가 중복되어 축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4. 다른 분석툴과 코드 로드 타이밍이 차이나는 경우 - 뷰저블은 설치된 스크립트 코드가 로드된 이후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다른 분석툴은 데이터 수집이 시작되었으나, 뷰저블 코드가 늦게 실행되는 경우, 뷰저블 코드가 로드되기 전에 해당 페이지를 이탈한 사용자의 데이터는 수집이 불가능합니다. #5. 다른 분석툴에서 수집된 URL비교 - 다른 분석툴에서 수집된 URL과, UX Heatmap에서 수집된 URL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6. SPA 페이지의 경우 - 다른 분석툴과 스크립트 호출기준이 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UX Heatmap : SPA 페이지의 경우, 최초 진입 URL 기준으로 스크립트 호출 및 web socket 연결되므로 다른 페이지로 전환 시 리로드 없이 내부 컨텐츠만 변경됨. (최초 진입 url 기준으로만 데이터 수집)SPA용 플러그인이 존재하는 분석툴 : 페이지 전환시마다 스크립트가 새로 호출되어 모든 페이지의 데이터 수집 가능 위의 사항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나 뷰저블의 수집 PV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뷰저블 운영팀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뷰저블 운영팀 : Beusable@4grit.com)
분석 시 이탈률, 종료율 해석 차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GA랑 뷰저블을 같이 쓰고있는데요, 이탈률과 종료율이 서로 헷갈려서 데이터 용어 문의드려요.1. 이탈율뷰저블의 이탈율은 특정페이지에서 analytics를 접속해 보면 되는게 맞나요? 구글애널리틱스와 비교했을때, GA는 랜딩페이지에서 이탈시 이탈율이라고 하는데, 뷰저블에서는 APP에서 돌아다니다가 해당 특정페이지에서 나가게되면 그페이지의 이탈율이라고 정의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종료율뷰저블 블로그에서 보았는데, 여러 개의 페이지를 이동한뒤 사이트를 떠난 비율이라고 글을 보았습니다. 만약 1번에서 처럼 App을 돌아다니다가 해당 페이지에서 나갔을 때 이탈율이라고 한다면 종료율과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종료율은 뷰저블에서 어떻게 보면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Lv.4
'평균 체류 시간' 구하는 방법
제가 Data-Driven UX 책을 읽다가 좀 헷갈리는 개념이 있어서요.. '평균 체류 시간'이란 전체 분석한 날짜의 평균 체류시간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이걸 구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평균 시간 / 가장 낮은 평균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더해서 나누면 되는거 맞을까요? 위에 가정처럼, 이벤트 진행한 4일에 대한 평균 체류시간을 구하고 싶어서요.여기서 4일에 대한 평균 체류시간으로 구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평균 시간 / 가장 낮은 평균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더하고 나누면 되는거 맞을까요?(ex. 1m 50s(가장 높은 평균 시간), 15s(가장 낮은 평균 시간) 제외하고 1m 2s + 30s ÷2 = 1m 17s <- 4일에 대한 평균 체류시간 이 계산법이 맞을까요? 이게 틀리다면 4일에 대한 평균 체류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Lv.3
[기능 활용] Zero to One! 데이터 분석의 길라잡이가 필요하시다면 "CX Report"
데이터 분석,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하신가요?이제 "CX Report"에게 맡기고,의사결정에만 집중하세요! 'CX Report'는 Journey Map에 수집된 데이터를 AI가 자동 분석하여 리포트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클릭 한 번으로 인사이트를 얻고, 보고서의 초안을 마련해 보세요! 📌 뷰저블 CX Report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1. CX Report는 ①데이터 수집 ➡ ②가공 ➡ ③분석 ➡ ④자동화 단계를 한번에 처리하여,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수를 단 한번의 클릭으로 단축합니다.- 이젠 누구나 클릭 한번으로 CX Report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2. 뷰저블의 UX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수억개의 인터랙션 빅데이터와 수년의 뷰저블의 분석 노하우를 담은 뷰저블의 UX Intelligence가 탑재되어이를 기반으로 CX Report를 생성합니다. 3. 빠른 의사결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황 파악부터 요약, 결론까지 모든 인사이트를 하나의 리포트에 담았습니다.이제는 요약된 CX Report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CX Report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1. 데이터 분석이 처음인 초보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분석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될지 모르겠다면 뷰저블의 CX Report로 기본 개념을 잡아보세요! CX Report에서 알려주는 결론과 요약을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의 목표를 잡아볼 수 있습니다. :) 실제 CX Report 예시입니다. 2. 데이터 분석을 A부터 Z까지 알려줄 든든한 사수가 필요한 신입 분석가! 어떤 지점을 개선 포인트로 삼아야 할지, 인사이트를 어떻게 살펴봐야 할 지 모르겠나요?든든한 뷰저블의 CX Report가 분석부터 종합적인 개선 포인트까지 알려줍니다! 예시) 분석 리포트에서 제안하는 인사이트 및 개선 포인트 3. 업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집중하고 싶은 컨설턴트! 뷰저블의 CX Report는 문제점 요약부터 결론까지 한 눈에 알려주는 든든한 분석 전문 인력이 있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이젠 요약부터 분석까지 맡기고, 전문화된 인력은 의사결정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더 적은 리소스로 더 많은 클라이언트와 작업해 보는 기회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분석부터 핵심 여정까지 한번에! 📌 CX Report는 어떻게 받아볼 수 있나요? CX Report는 크게 2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어요! 1. 정해진 주제로 리포트 받기Journey Map 룰렛에서 뷰저블이 제안하는 주제의 CX Report를 생성할 수 있어요!① '구매(유료 결제 필요)' 또는 '무료 리포트 받기' 버튼으로 리포트를 생성합니다.무료 리포트의 경우 룰렛 중 한 주제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합니다.② Journey Map - Mine에 접속 후 생성된 리포트를 클릭하여 조회합니다.분석이 완료되면 리포트 조회가 가능하며, 리포트에 따라 분석 소요 시간은 상이합니다. 2. 조회 중인 세그먼트로 리포트 생성하기Journey Map 리포트에서 지정한 세그먼트에 대한 CX Report를 생성할 수 있어요!① 리포트 조회를 원하는 Journey Map의 리포트로 접속합니다.② 분석하고 싶은 데이터의 세그먼트(범위/조건)을 설정합니다.Ranking / Journey / Trend 별로 리포트 타입이 다릅니다.③ "조회 중인 화면 AI로 분석하기(유료 결제 필요)"를 클릭합니다.④ 세그먼트 선택 → 세그먼트 확인 및 결제를 진행합니다.분석이 완료되면 리포트 조회가 가능하며, 리포트에 따라 분석 소요 시간은 상이합니다. 📌 CX Report를 활용해서 추가 분석을 하고 싶다면? 생성한 CX Report를 조합하거나, 비교하고 편집할 수도 있어요! 추가 기능은 아래 포럼 글을 참고해 주세요. :) Mashup (CX Report 조합하기):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2304CX Report 비교 분석하기: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2341CX Report 편집하기: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2344 ▼CX Report기능을 바로 활용해보고 싶다면!▼
데이터 분석 가설 구축을 위해 해야 하는 3가지 질문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데이터 분석 시, 가설 구축을 위해 해야 하는 2가지 질문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왜 가설 구축이 중요한지 그리고 올바르게 가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를 공유합니다. 데이터 분석 툴의 진화, 그러나 사람이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최근 다양한 분석 툴이 도입됨에 따라 실무자 누구나 어느 정도 데이터 분석 업무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기본적인 작업, 예를 들어 데이터 정렬이나 시각화 등의 작업 또는 간단한 데이터 해석 작업을 더 이상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지난 2016년 구글 애널리틱스 모바일 웹에서 ‘애널리틱스 어시스턴트’라는 이름으로 간단한 분석 업무를 도와주는 자동 통계 보고서 기능이 출시된 바 있습니다. 원하는 정보를 바로 질문하여 알 수 있어 마케터나 분석 담당자가 정보를 탐색하는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사용자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이점이 발견되면 알림으로 주는 기능이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morevisibility.com/blogs/analytics/new-feature-release-analytics-assistant.html 하지만 아무리 이렇게 뛰어난 분석 툴이 나오더라도 ‘사람이 해야 하는 일’이 존재합니다. 1. 과제 설정 :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2. 목표 설정 : 해당 데이터를 통해 조직의 어떤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3. 가설 수립 : 해당 목표를 어떤 방향으로 달성할 것인가? 바로 위 세 가지, 과제와 목표를 설정하고 가설을 구축하는 부분입니다. 우리가 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며 해당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설을 수립하여야 하는지는 결코 툴이 해주지 않으며 사람이 직접 고민해야 합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가설 수립은 데이터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간과하기 쉬우며, 실무자들이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가설은 조직의 길라잡이이자 사고의 보조자 그렇다면 올바른 가설 수립은 왜 중요할까요? 먼저 가설이 올바르게 수립되지 못한다면 ‘문제 해결을 위해 상당한 물적, 인적 자원을 낭비’하게 됩니다. 올바른 가설 수립은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예방하여 공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가설은 조직이 ‘Action’을 할 수 있는 길라잡이가 되어주며 프로젝트 기간 내내 지속적인 사고(思考)를 이끄는 보조자 역할을 합니다. 가설 수립은 문제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실제 많은 컨설팅 펌에서는 ‘문제’ 파악에만 오랜 기간을 투자합니다. 보통 클라이언트 또는 조직이 문제를 알고 있을 것 같으나 실제로는 본인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나 많은 실무자들이 ‘문제’를 적확히 파악하고 분석, 고민하기보다 그저 ‘주어진 데이터’만 보고 가설을 수립해버리곤 합니다. 풀어 설명하자면, 분석 툴을 둘러보았더니 해당 분석 툴에서 제공하는 A 데이터에 특이점이 발견되었습니다. A 데이터에서 결론을 얻은 후 결론에 기반하여 B데이터를 살펴보고, B데이터에서 다시 결론을 얻어 C데이터를 살펴봅니다. 실무자는 이 A~C 데이터라는 3가지 범위의 데이터를 통해 아마 ‘논리적으로 가설과 결론을 수립’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설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 수립 접근법은 올바르지 못합니다. 다른 데이터를 더 많이 보았더라면 더 나은 가설이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고, 더 나은 문제 해결 방안 또한 나왔을지도 모릅니다. 또한 문제에 대한 ‘목표’가 먼저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분석’이 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 올바른 가설 수립은 올바른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A에서 이상치를 발견하여 B데이터를 보고, B에서 다시 C데이터를 보기 이전에 우리는 가장 먼저 ‘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 파악이 필요합니다. 그 이후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어떤 범위 내의 데이터가 필요한지,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해나갈 것인지 등을 검토하게 되는 것이지요. 아래 3가지 질문이 필요합니다. 1. 우리 조직 또는 서비스가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가?2.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 또한 어떤 범위 내의 데이터를 살펴보아야 하는가?3. 해당 데이터를 누가, 어느 기한 내로,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1. 우리 조직 또는 서비스가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가? 가장 먼저 질문해야 하는 점이 바로 ‘문제’입니다. 우리가 처한 문제가 무엇인지 모르면 결코 분석은 시작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가?를 알 수 있는 ‘문제 파악’에 긴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2.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 문제를 파악하였다면 다음으로는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를 리스트업 할 차례입니다. 스프레드시트 또는 액셀 등을 활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를 살펴보아야 하는지를 정리합시다. 또 이 데이터에 우선순위, 활용할 수 있는 분석 툴 등이 있는지를 적어둡시다. 분석해야 하는 데이터 범위는 넓으면 넓을수록 좋습니다. 분석가의 업무가 당연히 늘어나겠지만, 가설에 대한 리스크가 줄어들어 최적의 해결 방안을 찾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단순히 뷰저블에서만 데이터를 보는 것이 아니라 매출 같은 사내 데이터, 구글 애널리틱스 같은 다른 툴의 데이터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해당 데이터를 누가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마지막으로는 해당 데이터를 누가,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 분석에 대한 계획(액션 방안)을 세웁니다. 뷰저블에서는 아래와 같이 분석을 시작하기 전, 스프레드시트에 분석 목적과 현황, 분석 방법, 이슈 등을 정리하여 우선순위를 메기고 이에 따라 분석을 진행합니다. 아무리 비싼 툴을 도입하더라도 결국 가설은 분석가가 수립해야 합니다. 하나 가설을 수립하는 방법에는 정답이 없으며 개인의 경험치와 창의력, 시행착오를 기반으로 노하우가 생겨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얼마든지 분석가에 따라 더 좋은 가설이 수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하셔야 하는 것은 될 수 있는 한 더 많은 데이터를 살펴보고, 더 많은 가설을 직접 수립해보는 것입니다.
[기능 활용] #1 목표 페이지만 콕! 찝어서 집중 분석! (이전/이후 여정 분석) "Targets" 기능 소개편
Target우리 서비스에서 결제 전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여정만 빠르게 확인해보자!고객이 목표 페이지 도달 이전에 어떤 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이탈할까?궁금하다면 Targets(타깃) 기능을 이용해보세요!목차1. Target(타깃)은 어떤 기능인가요?2. Target 기능이 필요한 이유3. Target 기능 사용 방법 1. Target(타깃)은 어떤 기능인가요?목표 페이지까지 도달하는 여정과 그 이후의 여정을 콕 찝어 보여줘요! 오늘 소개드릴 기능은 뷰저블 Journey Map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기능으로,특정 페이지를 기준으로 도달 전/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Target” 기능입니다. 전체 고객 여정에서 목표 페이지만을 쏙 골라내어 관련된 여정을 보여주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예요.왼쪽: 도달 이전 여정 / 오른쪽: 도달 이후 여정어려운 설정 없이, 단지 목표 페이지(Target)를 선택하는 것만으로,해당 페이지에 도달하기 이전 여정과 이후의 여정이 명확하게 구분돼서 보이고 있죠? 2. Target 기능이 필요한 이유목표 페이지로의 최초 유입 과정부터 그 이후 여정까지 단계별로 분석할 수 있어요! 1. 분석하고 싶은 여정만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2. 서비스 퍼널에서 Goal이 되는 목표 페이지의 현황 분석에 활용할 수 있어요.3. 목표 페이지에 대한 퍼널 분석 후, 개선 필요 구간을 확인할 수 있어요.4. 특정 페이지 개선 전/후의 고객 여정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요. 3. Target 기능 사용 방법원하는 페이지를 즐겨찾기 하고 Target 페이지로 선택해보세요. 기능 위치 : Journey Map의 Journey 리포트 1. 페이지를 즐겨찾기한다. (서비스에서 Goal이 되는 목표 페이지 및 중요 페이지 등)즐겨찾기한 페이지만 타겟 여정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타겟 분석 전에 타겟 여정으로 확인하고 싶은 페이지를 즐겨찾기 해주세요.즐겨찾기 설정은 Ranking의 페이지 리스트 또는 페이지 별 상세 리포트에서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왼쪽: Ranking에서 즐겨찾기 / 오른쪽: Journey에서 즐겨찾기 2. Target 분석하고 싶은 페이지를 선택한다.Journey 리포트에서 “Target”버튼 클릭 후, 분석하고 싶은 목표 페이지를 선택해주세요!즐겨찾기한 페이지만 Target할 수 있습니다. 3. Target 여정을 확인한다. (이전 / 이후 여정)‘이전 여정’이 먼저 노출되며, Target 페이지 우측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이후 여정'도 이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이전 여정 : 타깃된 페이지로 도달하기까지의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확인 이후 여정 : 타깃 페이지를 거친 고객이 이후 어디로 진입했는지 확인 ● 이전 여정타깃 페이지에 도달하기 이전의 여정을 의미합니다.고객이 타깃된 페이지로 도달하기까지의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Target_이전 여정 ● 이후의 여정타깃 페이지에 도달한 이후의 여정을 의미합니다. 이후 여정은 '랜딩 세션'과 '도달 세션'으로 나뉩니다.랜딩 세션 : 타깃 페이지에서 여정을 시작한 세션의 이후 여정만 보여줍니다.도달 세션 : 다른 페이지를 거쳐서 타 페이지에 도달한 세션의 이후 여정만 보여줍니다.Target_이후 여정 ● 여정 더보기기본적으로는 핵심 여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6단계(Sequence), 순위(Rank)까지로 범위를 제한하여 보여드리지만,' + More' 버튼을 클릭하여 언제든지 더 많은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나 페이지 유형에 따라 목표 페이지에 도달 전/후 과정이 필수적으로 긴 경우,여정 더보기를 통해 목표 페이지 포함 총 20단계 & 순위는 제한없이 조회할 수 있어요.분석 목적과 서비스 유형에 맞게 조회 범위를 선택하실 수 있는거죠! Target_더보기 버튼 ● 타깃 노드Targets(타깃)으로 설정한 페이지를 의미합니다.즐겨찾기로 설정된 페이지만 타깃 노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노드 리포트[노드]를 클릭하면, 노드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리포트가 화면 우측에 제공됩니다. [ 좌측 툴바] - 여정리포트와 동일한 툴바 기능은 '여정 리포트 - 툴바' 가이드( https://forum.beusable.net/ko/post/804 )를 참고 해 주세요. ● 연결 보기 타겟 노드(Node)에서 연결되는 노드(Node) 갯수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 전체(100%) : 타겟 노드(Node)와 연결된 모든 전환을 보여줍니다. 1개의 노드(Node) 당 세션 수가 많은 순서대로 최대 3위까지 제공됩니다.○ 요약(상위 10%) : 세션 수에 따라 전체 연결 중 상위 10%에 해당되는 전환만 보여줍니다. ● 지표 보기노드(Node)에 제공되는 지표를 노출하거나 숨기는 기능입니다.좌측 툴바에서 지표보기 설정 변경 시, 이탈, 새로고침, 평균 체류시간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탈 지표는 이후 여정에서만 제공 : 타겟 노드(Node)에 도달하기 전에는 여정 내 이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전체 여정과 동일한 지표 안내- Targets(타깃)에서 '전체 여정(기본)'과 동일하게 제공되는 지표는, '세션, 이탈, 새로고침, 평균 체류시간'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정 리포트 - 여정확인' 가이드( https://forum.beusable.net/ko/post/805 )의 지표 박스 설명을 참고해주세요.모든 지표를 ON한 상태의 Target 여정 - 세션, 이탈, 새로고침, 평균 체류시간 지금까지 Journey Map의 Target 기능을 소개드렸습니다.2탄에서는 활용상황과 예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2탄 보러가기 - "Targets" 기능 활용편: https://forum.beusable.net/ko/post/528 ▼Target기능을 바로 활용해보고 싶다면!▼누구나 무료로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기능 활용] #2 고객은 어떤 경로를 거쳐서 결제 페이지까지 도달했을까? "Targets" 기능 활용편
Target고객은 결제 페이지까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을까?마케팅으로 유입된 고객은 결제까지 얼마나 도달했을까?궁금하다면 Targets(타깃) 기능을 이용해보세요!목차1. Target 여정 분석 가이드2. Target 여정 분석 예시 2-1. 기본편 2-2. 심화편 1. Target 여정 분석 가이드 Target 여정 분석 시, 다음 질문들만 있으면데이터 분석 초급자분들도 어렵지 않아요 👀목표 페이지(Target)만 선택하면 쉽고 빠르게 도달 전/후 과정을 보여주기 때문에 분석 초급자분들도 어려움없이 사용하실 수 있답니다. 더불어, 아래 질문들까지 있다면 더욱 막힘없이 분석을 이어갈 수 있을거예요! 도달하기 이전에 고객이 많이 머무르는 곳은 어디인가요? 의도한 것과 같이 여정을 진행하나요? 만약 예상과 다르다면, 어떤 여정을 경험한 고객이 목표 페이지까지 도달하나요? 목표 페이지까지 도달하기 이전에 고객은 어떤 페이지에서 많이 이탈하나요? 각기 다른 유입에서도 동일한 페이지에서 이탈이 발생한다면, 해당 페이지를 개선해 전환을 늘려보도록 해요! 고객은 어떤 페이지에서 관심을 가지고 목표 페이지까지 도달했을까요? 이전 여정에서 체류 시간 지표를 점검하고, 고객이 오래 머무른 지점을 확인해 보세요! Tip! 목표 페이지를 도달한 이후에 여정이 발생한다면 어떤 탐색을 이어나간 것일까요? 고객의 목표 지점은 우리의 예상과 다를 수 있어요! 도달 이후의 여정도 함께 점검해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2. Target 여정 분석 예시 2-1. 기본편목표 페이지까지 도달하는 여정과 그 이후 여정을 콕 찝어 분석할 수 있어요. 결제 사용자들의 여정 특징을 확인하고 전환율을 높이고 싶어요! 1) 산업군 : 이커머스2) 상황 : 목표 퍼널("광고유입 > 상품페이지 > 장바구니 > 결제" )이 존재해, 실제 단계별 사용자 여정을 분석하고자 함3) Target 페이지 : <결제> 페이지 4) 분석 과정왼쪽: 도달 이전 여정 / 오른쪽: 도달 이후 여정"Target"으로 결제 완료하기 전에 돌아다녔던 과정을 살펴본다면, 결제를 일으키는 고객들이 가진 경험의 특징, 또는 결제에 방해가 되는 문제 페이지를 알아챌 수 있습니다. 결제 완료한 뒤의 "Target"으로는, 결제 사용자들만의 여정과 경험을 살펴보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결제 페이지까지 도달하기 이전 여정을 확인한다. Targeting Journey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여정을 순위 별로 나열해 보여줍니다.예시 이미지: 장바구니 직전에 브랜드 콘텐츠에 대한 유입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요 경로들을 파악한다. 전환 줄기가 뚜렷한 여정이라던지, 상단 Rank로 표현되는 여정를 확인해보세요. 주요 경로: 이벤트 페이지(상품 상세) > 상품 리스트 > 브랜드 콘텐츠 > 장바구니 > 결제서브A 경로: 이벤트 페이지(상품 상세) > 상품 리스트 > 상품 상세 > 장바구니 > 결제서브B 경로: 이벤트 페이지(상품 상세) > 장바구니 > 결제 5) Insight "장바구니"를 거쳐 "결제"에 도달한 고객들을 살펴보면, 의도했던것과 달리 이벤트 상품에서 바로 결제로 넘어간 비율이 매우 적은 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신 이벤트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이외에 다른 제품을 둘려보며 결국 브랜드 콘텐츠에서 큰 매력을 느끼고 결제에 도달하는 고객이 더 많다는 주요 여정이 바로 확인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추후 개선 때, 이벤트 페이지와 브랜드 콘텐츠의 연결을 강화해보는 실험을 진행할 수 있겠죠? Tip! 고객 규모 뿐만 아니라, 체류시간, 새로고침과 같은 지표들을 추가로 확인하고 심화 분석을 진행해보세요!'지표 보기' 옵션에서 추가 지표들을 on/off 할 수 있답니다. 2-2. 심화편여정 더보기를 통해 순위와 단계를 확장해 좀 더 깊게 분석할 수 있어요.기본적으로는 핵심 여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6단계(Sequence), 순위(Rank)까지로 범위를 제한하여 보여드리지만,' + More' 버튼을 클릭하여 언제든지 더 많은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나 페이지 유형에 따라 목표 페이지에 도달 전/후 과정이 필수적으로 긴 경우,여정 더보기를 통해 목표 페이지 포함 총 20단계 & 순위는 제한없이 조회할 수 있어요.분석 목적과 서비스 유형에 맞게 조회 범위를 선택하실 수 있는거죠! Tip! Ranking 에서 제공되는 1세션당 페이지 수를 확인해서, 그 수만큼 단계(Sequence)를 확장하면고객이 평균적으로 거쳐간 페이지 수 만큼을 고려한 분석을 할 수 있어요! Case 1. 서비스 신청 과업 허들 제거하기서비스 신청과 같이 과업달성에 정해진 단계가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활용해 보세요. 아래 예시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답니다. [신청하기]목표 페이지신청하기 CTA가 있는 페이지분석 내용도달 이전 여정을 확인해서 신청하기 페이지까지 유입되는 과정을 확인 여정 더보기 활용여정의 시작점부터 신청하기 페이지에 도달하는 전체 과정을 확인하세요. 분석 결과실제 고객 여정을 기반으로 퍼널을 설계하여 도달까지의 과정을 줄일 수 있어요. 도달 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페이지를 확인하면, 신청하기 과업에 대해 효과적인 마케팅 구간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청완료]목표 페이지신청 완료 페이지분석 내용도달 이전 여정을 통해 신청 완료에 효과적인 페이지 확인 여정 더보기 활용신청완료에 도달하는 여정의 시작점을 확인하여, 과업을 완료하는 주요고객을 확인하세요. 분석 결과여정의 시작점을 확인하면 완료까지 도달하는 적극적인 잠재고객 비율이 높은 페이지를 알 수 있어요. 해당 페이지에 퀵링크나 배너를 통해 신청하기를 유도할 수 있답니다. Case 2. 결제를 유도하는 페이지 발견하기제품을 구매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아래 케이스를 참고해보세요! 목표 페이지장바구니 페이지분석 내용장바구니 도달 직전의 페이지 비교여정 더보기 활용순위 확장을 통해 장바구니 도달 직전 페이지들을 리스트업하고 전환율을 비교해 보세요. 분석 결과장바구니 도달 직전 페이지들의 공통점이나 반복되는 여정을 확인하면, 전환에 효과적인 요인들을 발견할 수 있어요. (ex. 제품 유형, 이벤트, 페이지 길이 등) Case 3. 적극적인 서비스 탐색을 일으키는 페이지 발견하기많은 콘텐츠 탐색을 발생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인 서비스를 운영하시나요?Target을 활용하면, 적극적인 탐색을 발생시키는 여정을 확인할 수도 있어요.목표 페이지브릿지 페이지 (다른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것이 목적인 페이지 ex. 서브 메인)분석 내용브릿지 페이지 도달 이후 여정 확인여정 더보기 활용단계를 계속 확장하여 가장 긴 여정을 발생시키는 주요 경로를 확인해 보세요. 분석 결과긴 여정을 가진다는 건 많은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는 의미에요. 여정 내 페이지를 확인하면, 원하는 결과를 발견하지 못해서 긴 탐색을 하는지 또는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탐색하기 때문에 여정이 길어진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답니다. 서브 메인별로 여정 길이를 비교하고 적극적인 탐색 유도에 효과적인 서브 메인을 확인할 수도 있어요. 브릿지 페이지 이후 여정의 Good/Bad Point를 확인해서 의도하는 적극적인 탐색 여정을 달성해 보세요! 지금까지 데이터 분석을 더 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Journey Map의 Target 기능 활용법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이 밖에도 다양한 분석 목적에 따라서 쉽게 활용해볼 수 있는 기능이랍니다! 그럼, 원하는 만큼 목표 페이지의 도달 전/후 여정을 확인하고 서비스 개선에 효과적인 인사이트를 발견하러 가볼까요~!?▼Target기능을 바로 활용해보고 싶다면!▼누구나 무료로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분석리포트 작성 가이드]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3) KPI 설정
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 :) 분석 가이드 작성 3번째 시간이에요!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기 전, 꼭 설정해야 하는 KPI 설정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1) 분석 목표 선정(2) 분석 대상 설정(3) KPI 설정(4) 분석 진행(4-1) 분석 진행 - Journey Map 분석(4-2) 분석 진행 - UX Heatmap 분석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3) KPI 설정 분석 대상을 설정했다면, 다음은 핵심성과지표(KPI)를 설정하여 서비스의 성과와 현황을 정량적 지표로 측정해 보세요. 분석 대상에 따라 뷰저블 서비스에서 KPI로 설정하실 수 있는 지표 예시를 안내드립니다. 1. 여정 KPI 1-1. 활동 지표 [1-1] 그림 1. Ranking[1-1] 그림 2. Journey 여정 내 지표 예시1-1-1. 위치Journey Map > Ranking, Journey 1-1-2. 기준지표기준계산방법이탈률사용자가 탐색을 중단하는 비중이 줄었는지이탈한 세션/전체 세션(%)롤백률다시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는 불필요한 동선이 줄었는지되돌아온 횟수(PV)/전체 세션(%)새로고침율속도, 네트워크 등으로 인해 새로고침이 발생하는 비중이 줄었는지새로고침 횟수(PV)/전체 세션(%)체류시간콘텐츠 소비가 목적인 단계에서 체류시간이 늘어났는지전체 체류시간/페이지 방문(PV) 1-1-3. 측정 방안랭킹 상단 지표(방문 상위 20개) 또는 노드별 지표 측정 1-2. 세션 지표 1-2-1. 위치Journey Map > Ranking > Session Summary 1-2-2. 기준지표기준계산방법1세션당 페이지 수한 사람이 서비스에 방문하여 둘러보는 페이지가 얼마나 증가했는지전체 페이지(PV)/전체 세션세션당 평균 체류시간한 사람이 페이지당 얼마나 머무르는지전체 체류시간/전체 세션 1-2-3. 측정 방안랭킹 상단 지표 측정2. 페이지 KPI 2-1. 페이지 방문 분석 2-1-1. 위치UX Heatmap > Analytics 2-1-2. 기준지표기준계산방법PV, UV사용자 규모가 얼마나 늘어났는가-Click 이탈률사용자가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는가페이지 내 이동경로가 있는 링크 또는 버튼을 클릭하여 전환하지 않은 PV / 전체 PVUV 당 평균 PV사용자가 몇 회나 페이지를 재방문하는가전체 PV / 전체 UV체류시간사용자가 페이지에 얼마나 머무르는가전체 체류시간 / 전체 UV 2-1-3. 측정 방안Analytics 지표 측정 2-2. 페이지 전환과 이탈 2-2-1. 위치UX Heatmap > Analytics 2-2-2. 기준방문자가 페이지 내에서 링크를 통해 전환하지 않고 얼마나 이탈하였는가를 검토하여 전환/이탈 성과 측정 계산 방법: 방문 흐름의 Conversion/Exit는 페이지 내 이동 경로가 있는 링크 또는 버튼을 클릭하여 전환한/전환하지 않은 비율을 의미 2-2-3. 측정 방안페이지 이탈률 측정 (100% - 이탈률 = 전환율) 2-3. 페이지 탐색 2-3-1. 위치UX Heatmap > Reporting Heatmaps > Scroll Heatmap 2-3-2. 기준방문자가 페이지 내에서 제공된 콘텐츠를 모두 탐색하였는지 검토하여 사용자의 페이지 탐색 성과를 측정 2-3-3. 측정 방안페이지 구간별 스크롤 도달률계산 방법: 페이지 스크롤링에 따른 높이별 사용자의 도달 비율3. 콘텐츠 KPI 3-1. 콘텐츠 전환 3-1-1. 위치UX Heatmap > Reporting Heatmaps > Click / Tap Heatmap & Move Heatmap 3-1-2. 기준특정 콘텐츠(전환 클릭 요소)를 얼마나 클릭/탭 하였는가, 관심을 가진 후 얼마나 클릭/탭 으로 이어졌는가를 통해 전환 성과 측정 3-1-3. 측정 방안콘텐츠 별 Clicks or Taps (횟수)Hover to Clicks (호버 대비 클릭한 비율) 3-2. 콘텐츠 탐색 수치 3-2-1. 위치UX Heatmap > Reporting Heatmaps > Path Plot 3-2-2. 기준페이지 내 Task 수행 횟수와 움직임별 체류 시간을 파악하여 Task 수행 흐름의 원활성, 장애물 파악 3-2-3. 측정 방안사용자 탐색 수차와 탐색 위치별 체류시간 검토 3-3. 콘텐츠 주목 3-3-1. 위치UX Heatmap > Reproting Heatmaps > Move Heatmap, Scroll Heatmap, Path Plot 3-3-2. 기준방문자의 콘텐츠별 체류 시간과 탐색 밀집도를 살펴보며 콘텐츠의 주목 성과 비교 3-3-3. 측정 방안구간별 체류시간, 마우스 Hover 규모, Path Plot 상의 밀집도와 체류시간 검토 구간별 체류시간 (주목도) = (도달율 x 도달 PV만의 체류시간) / 100%마우스 Hover 규모 = 도달한 PV 대비 Hover한 PV 3-4. 콘텐츠 인지 3-4-1. 위치UX Heatmap > Reporting Heatmaps > Move Heatmap 3-4-2. 기준방문자의 특정 콘텐츠에 도달하여 얼마나 인지하고 탐색하였는가를 검토하여 콘텐츠 탐색 성과 측정 3-4-3. 측정 방안호버 비율 = 콘텐츠별 Hover 수 / 전체 PVKPI를 세우면 목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모든 구성원들이 나아갈 공동의 목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명확한 방향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점에 대한 빠른 개선이 가능해집니다. 이번 글을 통해 뷰저블을 활용한 KPI 설정이 조금 더 쉬워지셨다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본격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을 알려드릴게요!시리즈 이어서 보기►[분석리포트 작성 가이드]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1) 분석 목표 선정하기https://forum.beusable.net/ko/post/2075 ► [분석리포트 작성 가이드]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2) 분석 대상 설정https://forum.beusable.net/ko/post/2076 ▷[분석리포트 작성 가이드]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3) KPI 설정►[분석리포트 작성 가이드]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4-1) 분석 진행 - Journey Map 분석https://forum.beusable.net/ko/post/2078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4-2) 분석 진행 - UX Heatmap 분석https://forum.beusable.net/ko/post/2079
‘#데이터드리븐’ 로 태그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다른 태그를 입력해 보세요 :)
2022 Data-driven UX with 뷰저블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선착순 마감 ※ 현재 선착순 참가 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추가 모집이 발생할 경우, 뷸리지 공지에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행사에 대한 많은 관심과 호응에 감사드립니다. :) 안녕하세요,모두가 쉽게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뷰저블입니다! 여러분은 데이터 분석 어떻게하고 계신가요?늘 같은 패턴의 분석만 하고 계시진 않나요? 서비스를 성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인사이트를 원하는 분들께 2022 Data-driven UX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실제 뷰저블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담긴, 어디에서도 얻을 수 없는 UX 데이터 분석 경험들이 담긴, 뷰저블의 2022 Data-driven UX 세미나를 놓치지 마세요! :)(※ 본 행사는 오프라인으로만 진행됩니다.) 언제, 어디서 열리나요? 일시: 2022년 10월 20일 목요일 14시~18시장소: 롯데월드타워 SKY31 오디토리움 (https://naver.me/55IrNwzn) ※ 본 행사는 코로나 규정을 준수하여 진행됩니다.※ 본 행사는 참가비용이 없는 무료 행사입니다.※ 참가 인증이 필요하신 분들께는 참석 확인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어떤 내용을 다루나요? Data-driven UX 세미나는 크게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뷰저블에 관심이 있지만 실제 적용하기까지 고민이 되시는 분뷰저블을 이미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 서비스에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방향성을 잡기가 어려우신 분새로운 데이터 분석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싶으신 분타사의 데이터 분석 방법이 궁금하신 분 모두 주목해주세요! 세션1. 뷰저블이 이야기하는 뷰저블 200% 활용하기! 너무나 많은 데이터 분석 솔루션들!다른 데이터 분석 솔루션과 뷰저블은 무엇이 다를까요? 뷰저블이 필요한 이유를 말씀드립니다! 여러분은 뷰저블의 어떤 기능을 활용하고 계신가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웠던, 뷰저블의 강력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새로운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길을 열어드릴게요! 내가 뷰저블을 잘 활용하고 있는걸까? 어떻게해야 뷰저블을 잘 썼다고 소문날까? 뷰저블이 알려주는 팁과 노하우! 뷰저블을 잘 활용해서 누구보다 쉽게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 뷰저블이 직접 알려드립니다. 세션2. 사용자가 이야기하는실전에서 뷰저블 활용하기! 다른 사람들은 뷰저블을 어떻게 쓰는지 궁금하진 않으셨나요? 데이터 기반으로 UX 비즈니스를 이끌고 있는 뷰저블을 직접 활용하고 있는 생생한 사례를 공유드립니다. UX 학계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뷰저블 데이터! 뷰저블을 통한 사용자 경험에 대해서 연구&리서치한 내용으로UX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뷰저블 세미나에 있습니다! Special 세션.사용자가 묻고 뷰저블이 답하는10분 Q&A 세미나 종료된 이후, 뷰저블 담당자가 배치되어 직접 질문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세션을 마련했습니다.평소 뷰저블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셨던 분들은 세미나에서 편하게 질의응답을 주고 받아 보세요! :)(신청/추첨에 따라 미지원될 수 있으며, 당일 진행이 어려운 경우 별도 온라인 화상미팅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event.다양한 이벤트와 선물 세미나에 참석해주시는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다양한 이벤트와 선물을 준비했습니다!가볍게 오셔서 마음과 두 손 무겁게 돌아가 주세요! :) 세미나에 참석하고 싶으신 분들은 고민하지 말고 빠르게 신청하세요! 유의미한 시간으로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 ► 선착순 마감 ※ 현재 선착순 참가 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추가 모집이 발생할 경우, 뷸리지 공지에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행사에 대한 많은 관심과 호응에 감사드립니다. :) 세미나와 관련되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본 게시물의 댓글 또는 뷰저블 운영팀(beusable@4grit.com / 031-625-4395~6)으로 편하게 문의주세요.
2022.10.05안녕하세요, 뷰저블 입니다.10월 20일 롯데타워에서 열리는 뷰저블 세미나의 추가모집을 안내드립니다. [추가 모집 안내] 본 게시물에 "신청" 이라고 댓글을 남겨주세요.댓글 선착순 10분께 뷸리지 가입 이메일주소로 접수 확인 이메일을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10월 18일(화), 오후7시에 발송예정 ※참고. 뷸리지 가입 이메일 주소 확인하기My Zone > 설정 > 가입정보 > 이메일세미나와 관련되어 궁금한 점은 뷰저블 운영팀(beusable@4grit.com) 이메일로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주세요.감사합니다. :)
2022.10.18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 저희 '2022 Data-driven UX with Beusable' 세미나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현재 네이버 폼을 통한 선착순 모집은 마감되었으나, 기존 신청자분들의 참석 여부에 따라 추가 참석자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추가 모집에 대한 방식은 아래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추가 모집 안내] 2022/10/18 화요일 오전 11시에 게시되는 추가 모집글(*)의 댓글 선착순 10분 추가모집글 정보: 뷸리지 > Notice2022 Data-driven UX 세미나 추가 모집댓글 모집시각: 2022/10/18(화) 오전 11시~오후5시선정되신 분들께는, 당일 오후 7시에 뷸리지 가입 이메일주소로 접수 확인 이메일을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저희 세미나에 많은 기대를 보여주시는 만큼, 열심히 행사를 준비해서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14안녕하세요, 뷰저블 팀입니다. 지난주 롯데월드타워에서 개최된 2023 데이터 드리븐 UX 라이팅 세미나가 여러분들의 관심 덕분에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Data-Driven UX를 주제로 더 유익한 세미나로 돌아오겠습니다! ▶︎ 세미나 현장 스케치 ☺︎ 그 뜨거웠던 세미나 현장이 궁금하시다면? 뷰저블 서포터즈들이 전하는 생생한 후기를 확인해 보세요! https://forum.beusable.net/ko/post/1117https://forum.beusable.net/ko/post/1119https://forum.beusable.net/ko/post/1126 ▶︎ 현장 스케치 공유하고 Data-Driven UX 도서 받자! 세미나에 참여해 주신 분들의 생생한 현장 후기를 기다리고 있어요! 세미나의 현장 스케치를 SNS에 남겨주시고 저희에게 공유해 주시면, 추첨을 통해 Data-Driven UX 도서를 보내드립니다! 기간: 2023년 4월 27일(목) ~ 2023년 5월 12일(금)참여 방법1.세미나 현장 분위기가 담긴 사진을 마구 찍어주세요! 이미지가 많을 수록 당첨 확률도 UP!2. 현장 이미지와 후기가 담긴 게시물을 #뷰저블 해쉬태그를 달아 SNS에 업로드해 주세요. (SNS 채널 무관)3. 신청폼을 통해 작성한 게시물의 URL을 입력하면 끝!(신청폼 바로가기)경품: Data-Driven UX 도서 (자세히 보기)당첨자 발표: 신청폼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개별 안내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