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Case Study [10] : 단계별 선택 옵션을 제공하는 SPA 페이지 분석하기
팔로우한 글에 답변이 달리면 이메일 알림을 보내드려요.
UX Case Study [10] : 단계별 선택 옵션을 제공하는 SPA 페이지 분석하기
안녕하세요, 뷰저블 UX Researcher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UX Case study 시리즈의 마지막 편, URL이 변경되지 않는 SPA 페이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해요!
뷰저블은 URL을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번 예시처럼 특정 옵션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 URL이 변경되지 않는 SPA 페이지의 경우 뷰저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히트맵 기능으로 분석이 가능해요.
1. 분석할 페이지와 분석 목적 파악
오늘 분석에 사용할 페이지는 한 여행사 사이트 내 '내게 맞는 여행 상품 찾기'이라는 페이지인데,
개인이 여행을 하고자 하는 (1)나라, (2)여행 인원, (3)가이드 형태, (4)가격대, (5)여행 스타일을 단계별로 선택하면, 최종 단계인 (6)추천 상품 보기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에 따라 여행 상품을 추천해 주는 형태에요.

이 페이지를 기획한 담당자의 가장 큰 의도는 고객이 '여행 상품을 추천 받아 > 해당 상품을 클릭하여 예약 상담을 유도' 하는 것 일텐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최대한 많은 고객들이 최종 단계인 (6) 추천 상품 보기 페이지에 도달하도록 해야겠죠?
따라서 이번 분석의 목적은 최종 단계의 페이지까지 도달하기 전 어느 단계에서 가장 많은 고객이 이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될거에요.
2. 분석할 내용 파악하기
라이브 히트맵의 'Exposure Heatmap'으로 노출률 지표를 확인하면, 단계별로 얼마나 많은 고객이 도달했는지 파악이 가능하고, 또 도달한 비율의 차이를 계산하면 각 단계별로 얼마나 많은 고객이 이탈(이탈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저는 가장 먼저 모든 단계에 고정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화면 우측 하단의 '선택하기' 버튼의 노출률을 단계별로 확인해 보려고 해요.

3. 분석 결과 해석하기
각 단계별로 '선택하기' 버튼이 노출된 비율을 확인해보니,
(1) ~ (5) 페이지까지는 각 단계별 최대 이탈률이 25%로 대체적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있는 반면, (5) 여행 스타일 선택 페이지에선 98%가 이탈(6%에서 0.1%로 감소)하여 마지막 '추천 상품 보기' 페이지 (상담 예약하기 버튼)에 노출되는 비율은 매우 낮은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또한, 이 페이지로 유입된 고객은 99%가 신규 방문이며, 재방문의 비율은 1%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신규 방문 시 좋은 경험을 심어주지 못했기 때문에 재방문을 하지 않는 것으로도 유추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4. 개선 인사이트
95%로 가장 이탈률이 높았던 ‘여행 스타일' 선택 단계에서의 이탈을 낮춘다면 최종 여행 상품 추천 단계까지의 도달률이 높아질 것으로 가정을 세울 수 있었는데요,
도달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여행 스타일 선택' 단계는 아예 생략하고 바로 (6) 추천 상품 보기 페이지로 전환하여 최종 단계에서 각자의 여행 스타일에 맞게 분류해서 볼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개선 방안을 제안해 볼 수 있었어요.
또 개선을 진행한 후에는, 실제로 고객의 최종 단계까지의 도달하는 고객이 많아지는지 (도달률/노출률이 상승하는지) 성과를 측정하는 과정을 꼭 진행해 볼 수 있겠죠?

자, 이렇게 총 8개의 주제의 UX Case Study 를 모두 소개해 드렸는데,
평소에 궁금해 하셨던 부분들이 해결되셨나요?
이번 시리즈를 통해 소개해드린 뷰저블 케이스 스터디들을 참고하셔서
여러분들께서도 직접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어보시고,
어떻게 분석해야할지 확신이 없거나, 어떤 해석이 가능한지 다른 실무자들의 의견이 궁금하실 땐
언제든 댓글이나 게시판을 통해 질문해 주시면 빠르게 궁금증을 해결하실 수 있을거에요!
그럼 또 유익한 컨텐츠로 돌아올게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답글을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