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유지율을 보시면서 사용자가 감소하는 시기가 언제인지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면 되는데요~
먼저 코호트를 분석하여 수치가 사용자 획득일로부터 몇일 뒤 감소하는지를 확인하고, 감소하는 타이밍을 포착하여 마케팅 실행방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 쇼핑몰에서 사용자를 획득한 날로부터 7일 뒤에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 이 타이밍에 맞춰 쇼핑몰 운영 담당자는 새로운 기사나 뉴스레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올려 고객에게 안내하거나, 빈도를 더 많이 늘려 사용자를 유지시킬 수 있겠죠~
다음으로는 이커머스를 다시 예로 들어볼게요.
3일 뒤 사용자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면 이 타이밍에 고객에게 카카오 알림톡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앱 푸시를 날려 다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효과적입니다. 특정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1주일 뒤 약 3% 감소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거꾸로 해당 사용자를 다시 재유입 시키는 방안도 있지만 신규 사용자를 불러모으는 마케팅 방안을 집행할 수도 있습니다.
Lv.3
네 맞아요~ 이걸로 사용자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의 행동과 유지율을 분석할 수 있어요! 코호트 분석이라고 하는데요~
예를들면, 3월 31일 세션을 시작한 사용자를 그룹으로 나눠 해당 그룹이 몇 %나 재방문하였는지 비중을 알아낼 수 있어요. 3/31일이 사용자가 세션을 시작한 날, 즉 사용자를 획득한 날로 볼 수 있고 특정기간 내 사용자 행동을 지표 별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위에 설명을 좀 더 보완해서 설명해드리면,, 3월 31일 신규 획득한 사용자 중에 예를 들어서 '해당 신규 획득 사용자 중 이후 2주 동안 얼마나 전환하였는지' '해당 신규 획득 사용자 중 몇 %가 사이트를 재방문 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어요.
만약에 '획득한 날짜 이후 12일'로 세그먼팅해서 유지율을 분석하고 싶은 경우, 상단 설정 항목에서 기간을 최근 14일로 변경하고 해당되는 셀을 클릭하면 '동질집단 세그먼트 만들기' 팝업이 뜰거에요! 클릭해서 사용자 유지율 보시면 돼요~
Lv.3
세그먼트를 설정하여 특정 디바이스 또는 OS 사용자의 코호트만 분석도 할 수 있어요~
Lv.3
네, 유지율을 보시면서 사용자가 감소하는 시기가 언제인지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면 되는데요~
먼저 코호트를 분석하여 수치가 사용자 획득일로부터 몇일 뒤 감소하는지를 확인하고, 감소하는 타이밍을 포착하여 마케팅 실행방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 쇼핑몰에서 사용자를 획득한 날로부터 7일 뒤에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 이 타이밍에 맞춰 쇼핑몰 운영 담당자는 새로운 기사나 뉴스레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올려 고객에게 안내하거나, 빈도를 더 많이 늘려 사용자를 유지시킬 수 있겠죠~
다음으로는 이커머스를 다시 예로 들어볼게요.
3일 뒤 사용자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면 이 타이밍에 고객에게 카카오 알림톡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앱 푸시를 날려 다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효과적입니다. 특정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1주일 뒤 약 3% 감소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거꾸로 해당 사용자를 다시 재유입 시키는 방안도 있지만 신규 사용자를 불러모으는 마케팅 방안을 집행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