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usable팀

Share Your
Experience &
Gain Inspiration

“Where should I ask questions about data analysis? Do I need to take a course?”
“Why is there a difference in my data from Google Analytics and Beusable?”

Easily find answers to your data analysis questions in Beusable Forum!
Share questions, difficulties, and tips with others in the same field and improve your data analysis skills!

Share questions, tips, and the latest trends with others in the same field and improve your data analysis skills!

2021.05.18 16:48 1,931

Rank

  • Lv.6

    >
    • yoonso UX Researcher Lv.6
    • 2023.12.11 14:03
    1. yoonso 134℃
  • Lv.6

    >
    2. yoonky1111 111℃
  • Lv.6

    >
    • 57 Other Lv.6
    • 2023.12.11 14:03
    3. 57 90℃
  • Lv.6

    >
    4. 데이터드리븐이쥬우 53℃
  • Lv.6

    >
    • 도레미 UX Researcher Lv.6
    • 2023.12.11 14:03
    5. 도레미 3℃

Brochure & Gift

Participate in a survey for
a brochure and gifts!

Social Media

Beusable Forum dreams of a world where anyone can freely read and use data!
Share your experiences and discuss
practical tips, trends, and more.

Careers See more

Notice

We will notify you of announcements and event news. See more

[2023 Data Driven UX - Beusable VIP] 쁘띠세미나가 개최됩니다!

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지난 10월 "2023 Data-Driven UX - 실전편 with Beusable"에 이어,2023 Data Driven UX - Beusable VIP 쁘띠세미나가 개최됩니다. :) 뷰저블 쁘띠 세미나는 뷰저블을 이용하고 계신 VIP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평소 궁금했지만 질문하기 어려웠거나, 이야기할 곳이 없었던 주제들을 심도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세미나에서는 뷰저블 서비스에 대한 상세설명과 로드맵 소개, 독자적인 기능과 전략에 대해 다루며,또한 사전 접수된 질문에 대한 답변과 실시간으로 질문에 답변하는 Q&A세션도 마련되어 있습니다.Beusable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분석 팁과 핵심 포인트에 대한 내용도 공유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뷰저블은 고도화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므로 앞으로의 세미나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쁘띠 뷰저블 참가 대상 뷰저블 유료 플랜 이용중인 VIP고객참가 대상 여부는 CX팀으로 문의 주세요. (beusable@4grit.com) 📌 어떤 내용을 다루나요? 1. 서비스 설명 및 뷰저블의 로드맵뷰저블의 서비스에 대한 상세 설명 및 로드맵 소개다른 곳에서 듣기 어려운 뷰저블의 독자적인 기능과 전략2. Q&A 세션사전 접수를 통한 질문에 대한 답변현장에서 질문을 받아 실시간 답변3. Beusable Advanced 기능 및 활용 방안 & 분석 TipBeusable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분석 팁 제공데이터 분석의 핵심 포인트와 활용 방안 공유 뷰저블 CX팀과의 개별 문의 자리도 마련했습니다. :) 뷰저블은 여러분과 함께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성과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 : CX팀 (beusable@4grit.com)

2023.11.13
>

[신규 기능] #3 여정 속 숨겨진 사용자의 행동을 밝히자! “CX Heatmap” 활용 방법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Beusable 팀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CX Heatmap”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오늘은 “CX Heatmap”를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Case Scenario를 통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CX Heatmap의 활용 방법을 알아봅시다! 앞선 포스팅을 통해 CX Heatmap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방법에 대해서 배워보셨나요?이제 CX Heatmap을 어떤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더 효율적으로 Journey Map을 사용해봅시다! [ Case 1 ]유입된 여정 별로 사용자의 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Heatmap으로 확인하고 싶어요! 1. 사이트 분석을 위해 Journey에서 상품 상세 페이지에 도달하는 세가지 여정을 확인하였습니다. 2. CX Heatmap을 통해 어떤 여정에서 상품 상세 페이지 내 장바구니 버튼 클릭율이 높은지 확인해봅시다! 3. Journey Map에서 각 여정을 살펴봤을 때, 모두 상세페이지에 도달했지만 어떤 여정에 따라 오느냐에 따라 사용자 행동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네요! 특히 이벤트 콘텐츠를 보고 유입되는 '이벤트 여정'의 사용자들이 더 쉽게 구매로 이어지고 있어요!GNB에 이벤트 상품만 모아두는 카테고리를 표시해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에서도 이벤트 상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개선해볼 수 있습니다! [ Case 2 ]이전 페이지로 다시 돌아온 사용자들이 어떤 콘텐츠를 탐색하는 지 궁금해요! 1. 문제 구간을 찾기 위해 교육 콘텐츠 사이트에서의 고객 여정을 살펴볼까요?2. CX Heatmap을 통해 다시 돌아온 사용자들은 페이지에서 어떤 콘텐츠를 탐색하는지 확인해봅시다! 3. CX Heatmap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는 교육생 후기 콘텐츠를 클릭해 전환했지만 원하는 정보 페이지가 아닌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해 다시 이전 페이지로 돌아온 것으로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탐색 여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롤백 원인인 로그인 과정을 개선하고 후기 콘텐츠를 바로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해보세요! [ Case 3 ]이탈률이 높은 상세 페이지에서 이탈한 사용자와 전환한 사용자의 행동을 비교 분석하고 싶어요! 1. 이커머스 사이트를 분석하기 위해 Journey Map에서 상세페이지까지의 여정을 확인해볼까요? 2. 각 여정에서 상세페이지의 이탈률이 다른 원인을 찾기 위해 세그먼트로 전환 사용자와 이탈 사용자를 각각 비교 분석해봅시다! 3. CX Heatmap의 전환, 이탈 세그먼트를 통해 전환을 많이 한 페이지와 이탈을 많이 한 페이지의 사용자 행동을 비교 분석해볼 수 있어요!상세 페이지의 이탈률을 줄이기 위해 도달 대비 전환율이 높은 '특가 상품 콘텐츠'를 상단으로 올려 이탈률을 개선해 볼 수 있습니다. 1탄부터 3탄까지 CX Heatmap의 사용 방법과 활용 사례에 대해서 소개하는 시간이었는데요,CX Heatmap에 더 가까워지는 시간이 되셨나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지금 바로 Journey Map에서 CX Heatmap을 활용해보세요! 😉 서비스 흐름 점검부터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까지, 한번에 도와주는 ‘CX Heatmap’을 지금 경험해보세요! 시리즈 이어서 보기▶#1 “CX Heatmap”으로 Light하게 분석하자! CX Heatmap소개편▶#2 여정 내에서 Light하게 사용자를 분석하고 싶다면? CX Heatmap 사용법편▷#3 여정 속 숨겨진 사용자의 행동을 밝히자! CX Heatmap 활용편

2023.11.06
>

[신규 기능] #2 여정 내에서 Light하게 사용자를 분석하고 싶다면? “CX Heatmap” 사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Beusable 팀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CX Heatmap”에 대해 소개드리는 시간을 가졌는데요,오늘은 “CX Heatmap”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CX Heatmap을 사용해봐요! 저번 포스팅을 통해서 CX Heatmap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가 되셨다면, 이제 CX Heatmap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저니맵의 ‘Ranking Report’에서 CX Heatmap을 만나볼까요?아래 표에서 새롭게 등록된 CX Heatmap 기능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표에 나타난 버튼 모양을 통해서 페이지의 CX Heatmap 활동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데요, 자세한 설명은 아래 그림을 참고해주세요!히트맵은 페이지별로 설정 가능한데요, 아직 히트맵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은 페이지에서는 빨간 재생 버튼이 나타나게 됩니다! 무언가 누르고 싶게 생기지 않으셨나요? 😆 해당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이 히트맵 등록을 위한 단계별 설정창이 나타납니다. 1. 분석 기간 설정하기먼저, CX Heatmap으로 페이지를 분석할 기간을 설정합니다. 분석 기간에 수집되는 PV만큼 히트맵 바구니의 JAM이 사용됩니다. 📌 더 알아보기분석 시작일/종료일을 설정하면 분석 예상 PV가 제공됩니다. 수집이 중단되지 않도록 히트맵 바구니에 JAM(1 JAM 당 1,000PV)을 충전해주세요. 2. 페이지 분석 설정2단계는 분석 페이지의 스크린샷의 설정을 관리하는 페이지입니다. 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인가? : 분석할 페이지가 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라면 실제 사용자가 방문한 페이지로 캡처가 진행되기 때문에 캡처할 URL을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캡처할 URL : 만약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페이지라면 ‘캡처할 URL’에 히트맵으로 사용될 캡처 페이지의 URL을 입력해주세요!제외할 CSS Selector : 이 부분은 캡처 페이지 내 분석에 필요하지 않은 요소를 제외할 수 있는 기능으로, 주로 팝업 화면, 앱 다운로드 레이어 등을 제거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쉽고 간편하게 페이지를 설정하고 나면 CX Heatmap 등록이 완료됩니다! 📌 더 알아보기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페이지라면 이후 캡처된 분석화면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CX Heatmap로 Light하게 분석해봐요. Ranking Report에서 CX Heatmap를 등록한 이후 Journey Report에서 페이지의 Heatmap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더 알아보기페이지 내에서 PV가 발생하고 CX Heatmap에 조회까지 최대 2시간 소요되며, 등록 전 데이터는 조회가 불가능하다는 점 유의해주세요.각 노드에 호버하면 표시되는 왼쪽 상단의 히트맵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CX Heatmap 기능이 나타납니다!기본적으로 여정에서 제공되는 세그먼트 뿐만 아니라 CX Heatmap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세그멘트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바로 전환/이탈한 사용자, 새로고침의 유무, 롤백의 유무 입니다. 기존의 UX Heatmap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지표로 고객 여정을 확인하는 중 특정 페이지에 도달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지금까지 CX Heatmap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는 시간이었는데요,CX Heatmap에 더 가까워지는 시간이 되셨나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CX Heatmap을 어떤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을 지그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지금 바로 Journey Map에서 CX Heatmap을 실행해보세요! 😉 서비스 흐름 점검부터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까지, 한번에 도와주는 ‘CX Heatmap’을 지금 경험해보세요! 시리즈 이어서 보기▶#1 “CX Heatmap”으로 Light하게 분석하자! CX Heatmap 소개편▷#2 여정 내에서 Light하게 사용자를 분석하고 싶다면? CX Heatmap 사용법편▶#3 여정 속 숨겨진 사용자의 행동을 밝히자! CX Heatmap 활용편

2023.10.27
>

Real-time popular posts

Forum

Ask away to other professionals and improve your data skills! See more

Case Study

Use cases, report writing tips, and various information can be found here!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