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k

  • Lv.6

    보기
    • yoonso UX Researcher Lv.6
    • 2025.05.10 08:08
    1. yoonso 181℃
  • Lv.6

    보기
    2. yoonky1111 111℃
  • Lv.6

    보기
    • 57 기타 Lv.6
    • 2025.05.10 08:08
    3. 57 97℃
  • Lv.6

    보기
    4. 비밀이에용 81℃
  • Lv.6

    보기
    5. 데이터드리븐이쥬우 53℃

Brochure & Gift

설문 참여하고 브로셔와
선물 받아가세요!

Community & SNS

Beusable Forum dreams of a world where anyone can freely read and use data!
Share your experiences and discuss
practical tips, trends, and more.

태그
검색 결과 : 27

Solomon

더보기

매치 유형 선택하기

1. URL 이해하기적절한 매치유형 선정을 위해서는 먼저 URL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URL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URL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알고 싶은 분들은 뷰저블 유튜브를 참고해주세요! :)위와 같은 URL 구조를 확인하고, 분석할 URL에 적절한 매치유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매치유형 이해하기Exact Match등록 URL과 정확히 일치하는 URL에 접속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Exact Match 이용 시, A/B 테스트와 세션 리포트 기능이 지원됩니다. 활용 예시)광고, SNS 등의 트래픽을 제외하고, 즐겨찾기나 직접 URL 입력으로 유입된 오가닉 데이터만 분석할 때특정 광고 파라미터 등의 변수를 제거하고 특정 URL에 진입한 사용자만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싶을 때 Simple Match등록 URL의 Domain 과 Path 값이 일치하는 URL에 접속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등록 URL의 Path 값 뒤에 파라미터, 프래그먼트 등의 변수가 추가될 경우 해당 URL의 데이터도 함께 수집합니다. (파라미터, 프래그먼트 등의 변수는 구분하지 않음)활용 예시)광고, SNS 등의 트래픽를 포함한 여러 유입경로에서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을 때 (메인 페이지 등)같은 Domain과 Path를 공유하는 페이지의 전체 레이아웃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합산 집계하고 싶을 때 Starts Match등록 URL로 시작하는 URL에 접속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합니다.특정 하위 페이지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하거나, 동일한 URL 구조를 가진 모든 하위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 프래그먼트 등의 변수 구분함)활용 예시) 모든 상품 상세 페이지의 데이터를 하나의 리포트로 수집하고 싶을 때파라미터 ("?"로 시작하는 문자열)로 구분되는 다양한 페이지들을 하나의 리포트로 분석하고 싶을 때 Ends Match등록 URL의 Domain에서, 입력한 텍스트가 URL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경우 데이터를 수집합니다.동일한 특정 문자로 끝나는 URL들을 분석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Contains Match등록 URL의 Domain에서, 입력한 텍스트가 UR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등록 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URL 구조가 모두 다르지만,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용합니다. Regular Match등록 URL의 Domain에서, 등록한 정규식 조건과 일치하는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매치유형을 하나만 선택할 수 없는, 다수의 조건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용합니다. 다만, 뷰저블 운영팀에서 정규식의 작성 및 작동 여부 확인은 지원해 드리지 않습니다. 매치유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유튜브 가이드로 준비되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확인 부탁드립니다. :)뷰저블 유튜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beusable

보기
  • 4,476

커스텀 태그 (Custom Tag) 란?

커스텀 태그란? Journey Map의 모든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URL의 Path 값을 기준으로 수집/조회됩니다.커스텀 태그를 활용하면, 여러 URL을 원하는 목적별로 묶어서 데이터를 묶음 단위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예: 장바구니, 결제 페이지를 ‘구매 과정'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커스텀 태그 구조 태그(Tag): 커스텀 태그를 사용할 페이지에 마킹하기 위한 용도로 하나의 값을 가집니다.태그가 설정된 페이지는 커스텀 태그로 묶을 수 있습니다. (예: custom_tag, page_type)아이디(ID): 어떤 이름으로 묶일지를 설정합니다. 장바구니와 결제 페이지를 구매 과정으로 묶는다면, 이때 아이디는 ‘구매 과정’이 됩니다. (예: buying, product_detail 등 원하는 개수만큼 지정할 수 있으나, 한 페이지당 1개의 아이디만 가질 수 있습니다.) 커스텀 태그 로직 안내※ 주의사항태그와 아이디 모두 일반적인 HTML 규칙을 따라 만들어야 합니다.영문, 밑줄(_), 하이픈(-), 점(.)만 사용 가능합니다. 띄어쓰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전체 URL이 다른 페이지라도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경우, 데이터가 묶여서 수집됩니다.커스텀 태그는 뷰저블 트래킹코드와 별개로 페이지마다 수동 설치가 필요합니다. 뷰저블 트래킹 코드만 설치하고 커스텀 태그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만 선택할 경우,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습니다. 커스텀 태그 설정 방법 Journey Map > 등록 또는 수정 > 2. 상세 설정 > 커스텀 태그 설정 (선택) 을 열어주세요2. 커스텀 태그 '사용'을 클릭해서 수집을 활성화해주세요.3. 페이지에 설치할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뷰저블에서 기본 제공하는 태그(_beu_custom_id)를 사용하거나, 기존에 사용 중이거나 임의로 정한 태그명을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4. '등록 또는 수정'을 클릭합니다.5. 페이지 내에 커스텀 태그를 설치합니다. 이 과정은 개발 부서의 지원이 필요합니다.a. 묶고자 하는 페이지 내에 자바스크립트로 전역 변수를 선언하면, 뷰저블에서 자동으로 인식 및 수집합니다.b. 예를 들어 태그가 customTag, 아이디가 buying 일 때, ‘window.customTag = “buying”’ 을 페이지 내에 삽입합니다.6. 설치 시점부터 입력한 태그의 아이디 별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설정 이전 기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커스텀 태그 조회 방법 커스텀 태그를 설정하면, Ranking / Journey / Trend 에 커스텀 태그 ON/OFF 버튼이 노출됩니다.커스텀 태그를 '사용'으로 설정한 이후부터 수집된 데이터만 태그 조회가 가능합니다. OFF: Journey Map의 기본 조회 방식인 URL의 Path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보여집니다. 모든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ON: 사용자가 설정한 태그의 ID별로 데이터가 보여집니다. 일부 기능이 제한됩니다. 커스텀 태그 ON(실행) Journey 예시 < 커스텀 태그 제한 기능 >모든 데이터에 스크린샷, 페이지 정보 대신 태그명/컬러가 적용됩니다.커스텀 태그 ON(실행)인 경우, 제한되는 기능을 안내드립니다. 페이지 관리: 그룹 보기, CX히트맵즐겨찾기벤치마크Session SummaryMPTI (AI 페이지 유형 분류)CX리포트캡처 재촬영 및 업로드

보기
  • 272

Forum

더보기

Case Study

더보기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1/3)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1/3) 😊 안녕하세요, Beusable 팀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해보고자 " URL을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서 각 매치유형을 사용해야 하는 지 " 알아보려고 합니다. URL 구조 이해부터 매치유형 활용까지! 분석 페이지 등록할 때 필요한 꿀팁이 가득하니 이번 포스팅 내용에 주목해 주세요! 🙂 매치유형을 활용하기 위해서 각 URL의 구조를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URL의 구조를 알아봅시다! URL은 프로토콜, 도메인, Path, 파라미터, 프래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볼까요?먼저 프로토콜은 컴퓨터 간 정보 주고 받을 때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을 표기한 것 입니다. 기본적으로 http와 https를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http는 html 문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일반적인 웹 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https는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으로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도메인은 숫자로 된 IP 주소와 다르게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게 보통 서비스 명으로 불리는 컴퓨터 주소입니다. 도메인 전체에는 국가나 기관의 정보를 보여주는 상위 도메인명, 도메인 이름과 도메인에 속한 호스트 정보가 기입됩니다.상위 도메인명국가와 기관에 따라 다른 상위 도메인명을 사용합니다. (국가 구분의 예) 캐나다 구글 사이트 : www.google.ca의 'ca' 한국 구글 사이트 : www.google.kr의 'kr' (기관 구분의 예) 영리 목적의 기업 : 네이버 www.naver.com의 'com'비영리 목적의 삼성재단 : www.samsungfoundation.org의 'org' 도메인명숫자로 표현된 IP 주소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영문으로 표현한 것이 도메인명입니다. (예시)naver, youtube, beusable 호스트명도메인의 하위 개념으로 서브도메인, 보조도메인으로도 불립니다. (예시)music.naver.comblog.naver.commail.google.com Tip! 뷰저블 히트맵에서는 서브 도메인이 다르면 상위 도메인과 도메인명이 같아도 다르게 인지 하는데요, 예를 들어 모바일 버전의 네이버 URL인 ‘m.naver.com’과 데스크탑 버전의 네이버 URL인 ‘www.naver.com’을 서로 다른 도메인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뷰저블 히트맵에 분석 페이지를 등록하실 때 각각의 페이지를 별도로 히트맵에 등록해주셔야 합니다! Path는 파일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 서버 기준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속한 폴더명과 파일명이 나타난 경로입니다. Path는 도메인 이후 /(슬래쉬) 뒤에 표시 됩니다. 컴퓨터의 파일 경로처럼 생각하면 좀 더 이해가 쉽습니다! 파라미터는 가변적 콘텐츠 처리할 때, url을 구분하려고 할 때, 파일 디렉토리 및 파일명 역할을 할 때 필요한 정보로 보통 ?(물음표) 뒤에 표시가 됩니다.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세트가 1개 이상 존재 시 "&"로 구분합니다.위의 예시를 해석하면, 앞선 도메인과 path의 경로에 따라서 ~top100.nhn의 페이지를 보여줄 때 "domain은 OVERSEA로, duration은 1h로 설정한 정보를 제공한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Tip. 파라미터의 사용 용도파라미터는 필터링 기능처럼 웹 사이트에 접속 했을 때 특정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에 따라 사용 용도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1. 가변적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쿼리 스트링으로도 불리는 파라미터는 페이지의 콘텐츠가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파라미터를 통해 원하는 검색어 정보를 URL에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초기 화면이 아닌 지정된 검색어 정보가 있는 콘텐츠와 레이아웃으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예시)https://shopping.naver.com/luxury/cosmetic/category?menu=10009886네이버 쇼핑 페이지에서 Path까지만 입력하면 ‘쇼핑-럭셔리-코스메틱’까지의 페이지가 열람되지만 파라미터까지 모두 입력하면 ‘쇼핑-럭셔리-코스메틱’에서 파라미터에서 지정한 검색어 정보인 ‘스킨케어’로 설정된 페이지가 나옵니다. 2. URL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URL을 여러 매체를 통해 홍보한 경우 어떤 방식으로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매체 URL에 파라미터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시)예시로 제시된 두 URL은 모두 구글에서 ‘쿠팡’을 검색하면 나오는 페이지입니다.https://www.coupang.com/ 검색을 통해 들어온 쿠팡 사이트의 URL은 다음과 같지만,https://www.coupang.com/?src=1042016&spec=10304903&addtag=900&ctag=HOME&lptag=쿠팡&itime=20230818174015&pageType=HOME&pageValue=HOME&wPcid=1...동일한 페이지 이지만 ‘구글 광고’로 제시된 쿠팡 사이트로 들어온 사용자의 유입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기능을 활용해서 광고로 유입된 사용자를 분석해 광고 효과를 측정해볼 수 있습니다. 3. 파일 디렉토리 및 파일명 역할을 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는 파일디렉토리 및 파일이름과 유사한 역할로도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미디어오늘’의 메인 사이트: http://www.mediatoday.co.kr/?mod=main&act=index '미디어오늘'의 회사소개 사이트: http://www.mediatoday.co.kr/?mod=company&act=introduce Tip. 패스와 파라미터는 어떻게 구분하나요?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패스는 웹 서버가 제공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속한 파일 경로와 파일명이 나타난 경로이고, 파라미터는 URL의 매개변수로써 URL에 추가적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이 두 가지 요소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슬래쉬)와 ?(물음표)를 잘 보시면 됩니다! Tip. UTM Parameter는 무엇인가요?여러분! 혹시 뷰저블 히트맵에 있는 Campaign 세그먼트 기능을 아시나요?뷰저블 히트맵의 Campaign 토글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팝업을 볼 수 있는데요!여기서 말하는 UTM Parameter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UTM Parameter는 Urchin Tracking Module의 약자로, GA에서 특정 캠페인 및 콘텐츠의 성과 측정을 위해 URL 뒤에 파라미터의 형태로 추적을 위한 코드를 붙이는 기법입니다. UTM Parameter을 활용하면 사용자가 어디서, 어떻게 유입이 되었는지 상세한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은 UTM 파라미터의 종류와 그 내용을 간략히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종류내용예시Source광고 매체명 (어느 매체로 유입이 되었는지)google, naverMedium유입을 유도한 마케팅 방식Banner, cpc, email newsletterCampaign어떤 캠페인의 광고인지 (캠페인명, 슬로건, 프로모션 코드)jan_event, feb_eventTerm키워드 정보 or 타겟팅 정보 (어떤 키워드로 들어왔는지)beusable 등Content어떤 광고 내용에 의해 유입이 발생했는지ecocampaign, watercampaignCampaign 토글 버튼을 통해 설정한 각 UTM Parameter을 선택하여 등록 URL에 진입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쉽게 조회해보세요~! 프래그먼트는 뷰저블 히트맵에서는 페이지의 특정 요소에 대해 지시 가능한 기능으로 여러 콘텐츠가 나열된 페이지의 특정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전달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페이지에서 content 영역을 지시해 URL 클릭 시 바로 content 영역으로 스크롤 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URL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해보았는데요, URL에 대해서 이해하면 앞으로 활용할 매치유형에 대해서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URL 구조의 이해를 기반으로 페이지 등록 매치 유형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의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출처]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URL 이해하기: https://brunch.co.kr/@beusable/237 URL 분석하기 (1/2): https://forum.beusable.net/ko/post/892 URL 분석하기 (2/2): https://forum.beusable.net/ko/post/893 웹 데이터 분석의 기본, 파라미터를 아시나요? | 뷰저블: https://www.beusable.net/blog/?p=3798 시리즈 이어서 보기▷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1/3▶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2/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17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3/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20

보기
  • 2,402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3/3)

😊 안녕하세요, Beusable 팀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Exact, Simple, Starts 매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매치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그렇다면 오늘은 Ends, Contains, Regular Expression 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매치유형 선택에 필요한 꿀팁이 가득하니 이번 포스팅도 주목해 주세요! 4. Ends Match Ends Match는 입력한 종료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URL 분석하는 매치 유형입니다. 때문에 입력한 종료 문자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URL의 데이터만 수집합니다. 분석이 필요한 URL의 도메인과 종료 문자열을 입력 후 동일한 도메인과 종료 문자열이 랜딩 URL에 있다면 매치가 가능합니다. 다음 예시를 참고해 입력한 문자열이 정확히 랜딩 URL의 종료 문자열과 일치하는 지 확인 후 매치 유형을 등록해주세요! 언제 사용하나요?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패턴을 가진 모든 페이지의 데이터를 합산 및 분석할 경우- 분석 페이지 중 ‘AB 테스트’ 페이지로 방문한 유저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싶은 경우URL 중간 문자열이 유입경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할 경우- 파라미터를 가진 URL이 유입경로에 따라 Path가 달라질 경우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분석 목적과 무관한 페이지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도록 입력한 URL 패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5. Contains Match Contains Match는 입력한 포함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URL 분석하는 매치 유형입니다. 분석을 원하는 페이지에 모두 동일한 특정 문자열을 가지고 있다면 Contains Match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분석이 필요한 URL의 도메인과 포함 문자열을 입력해 Contains Match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시를 참고해 입력한 포함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이 랜딩 URL 내에 존재하는 지 확인 후 매치 유형을 등록해주세요! 언제 사용하나요?여러 URL을 하나의 데이터로 합쳐 분석할 경우- 특정 상품 코드가 존재하고 각 상품별 모든 유입 경로 URL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수집하고자 할 때- 분석하려는 URL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키워드가 있을 경우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분석 목적과 무관한 페이지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도록 입력한 URL 패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6. Regular Expression Match Regular Expression Match는 입력한 정규 표현식을 통과하는 모든 URL 분석하는 매치 유형입니다. 앞서 설명한 5가지의 매치유형 모두 분석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면 정규 표현식을 작성해 이를 통과하는 URL만 수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정규 표현식은 예시와 같이 분석 목적에 따라 원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언제 사용하나요?앞의 5가지 매치 유형을 활용하기 힘들 경우예를 들어 Path가 ‘location’키워드로 시작해 ‘site’ 키워드로 끝나는 URL을 분석하고 싶을 때 Starts 매치와 Ends 매치를 함께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정규식을 통해서 원하는 URL만 수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분석 목적과 무관한 페이지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도록 입력한 URL 패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규식 작성에 대한 가이드는 뷰저블 내에서 따로 드리지 않고 있습니다.지금까지 분석 목적에 따라서 어떤 매치 유형을 활용하면 좋은지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URL 구조 이해하고 매치 유형 활용하기’ 시리즈를 통해서 매치유형에 대한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뷰저블 히트맵을 사용하는 데에 이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앞으로의 뷰저블 포스팅들도 기대해주세요!😉[출처] UX Case Study [1] : 웹 페이지 UX 분석을 시작하기 위한 첫 단계: https://forum.beusable.net/ko/post/456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URL 이해하기 | 뷰저블: https://www.beusable.net/blog/?p=4507 뷰저블 페이지 등록 가이드 p14~23시리즈 이어서 보기▶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1/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12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2/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17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3/3

보기
  • 1,351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2/3)

😊 안녕하세요, Beusable 팀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배웠던 URL은 데이터 분석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요?오늘은 URL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분석 페이지를 등록할 때어떤 매치 유형을 선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매치유형 선택에 필요한 꿀팁이 가득하니 이번 포스팅 내용에 주목해 주세요! 뷰저블 히트맵을 활용해 웹 페이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분석할 페이지를 등록해야 하는데요, 이때 분석할 페이지의 URL 구조 및 접근 방식에 맞는 매치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앞선 포스팅을 통해 분석할 페이지의 URL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 목적을 명확하게 파악한다면 분석에 적합한 매치 유형이 무엇인지 쉽게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하지만 그전에 먼저 매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데이터가 수집 되는 지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매치 유형 이해하기뷰저블 히트맵 대시보드에서 ‘페이지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분석 페이지 설정을 위한 창이 나타납니다.여기서 URL의 매치 유형 6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요,분석할 URL의 구조와 분석 목적에 따라서 한 가지의 매치유형을 고르실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Exact Match, Simple Match, Starts Match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xact Match Exact Match는 등록한 URL과 실제 랜딩 URL이 100% 일치해야 데이터를 수집하는 매치입니다. 때문에 원하는 페이지의 URL에 대해서만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A/B 테스트와 세션 리포트 열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매치 유형입니다. Exact Match로 페이지를 등록하고 싶다면 예시처럼 등록 URL과 랜딩 URL이 완벽히 일치해야 하며 만약 등록한 URL과 실제 랜딩한 페이지의 URL이 한 글자라도 다르면 실제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게 됩니다. 언제 사용하나요?특정 유입경로로 들어오는 유저의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정확히 '네이버 광고’를 통해 사이트에 방문한 유저의 데이터를 원할 때- 이번달 여름 기획전 페이지에 직접 유입 경로로 들어온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원할 때즉, 전체적인 행동 데이터보다 특정 유입 경로로 들어온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알고 싶을 때 적합한 매치 유형입니다.A/B 테스트와 세션 리포트 기능을 사용할 경우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Exact Match는 특정 페이지만 분석하기에 적합한 매치 유형으로 동일한 페이지더라도 등록 URL과 동일하지 않은 URL로 랜딩된 사용자 데이터는 수집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Simple MatchSimple Match는 등록한 URL의 domain과 Path만 일치하면 해당되는 모든 URL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매치유형입니다. 때문에 프로토콜, 파라미터 등의 요소가 달라도 도메인과 패스만 같다면 모두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다음 예시를 참고해서 등록한 URL과 실제로 랜딩 했을 때의 URL의 도메인과 Path가 일치하는 지 꼭 확인 후 등록해주세요!언제 사용하나요?변수(어떤 광고/마케팅)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경우어떤 광고나 마케팅으로 유입했느냐에 따라 랜딩 URL이 달라질 경우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분석하고 싶은 경우분석 대상의 URL이 Path로 결정되는 경우같은 도메인과 Path를 공유하는 카테고리의 전체 레이아웃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합산 및 집계하고자 할 때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Simple Match는 랜딩 URL의 프로토콜, 파라미터, 프래그먼트가 등록 URL과 달라도 도메인과 path가 같으면 매치가 가능한 유형입니다. 하지만 유입경로에 따라 도메인이나 path가 달라진다면 해당 URL의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Starts MatchStarts Match는 입력한 시작 문자열로 시작하는 모든 URL을 분석하는 매치 유형입니다. 때문에 입력한 문자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url의 데이터만 수집합니다.다음 예시를 참고해 입력한 문자열이 정확히 랜딩 URL의 시작 문자열과 일치하는 지 확인 후 매치 유형을 등록해주세요!언제 사용하나요?여러 URL을 하나의 데이터로 합쳐 분석하는 경우파라미터로 구분되는 다양한 상품 페이지들을 하나의 리포트에서 함께 수집하고자 할 때특정 하위 페이지에 대한 전반적 분석을 하고자 할 때 이런 점은 유의해주세요!Starts Match로 도메인까지만 등록하게 되면 모든 사이트의 데이터가 수집되어 PV가 많이 소진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석 목적과 무관한 페이지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도록 입력한 URL 패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오늘은 분석 목적에 따라서 Exact, Simple, Starts 매치 유형을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URL 구조 이해하고 매치 유형 활용하기’ 포스팅을 통해서 매치유형에 대한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뷰저블 히트맵을 사용하는 데에 이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다음 Ends, Contains, Regular Expression 매치 유형에 대한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출처] UX Case Study [1] : 웹 페이지 UX 분석을 시작하기 위한 첫 단계: https://forum.beusable.net/ko/post/456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URL 이해하기 | 뷰저블 : https://www.beusable.net/blog/?p=4507 뷰저블 페이지 등록 가이드 p14~23시리즈 이어서 보기▶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1/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12 ▷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2/3▶URL 구조 이해하고 분석 매치유형 활용하기 3/3: https://forum.beusable.net/ko/post/1320

보기
  • 898

URL 분석하기 (1/2)

URL의 단일 페이지를 올바르게 분석하려면 URL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URL의 큰 구성중 도메인과 파일디렉토리 및 파일명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고, 다음 아티클에서 나머지 항목들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미지1. URL의 구성 요소 URL > 프로토콜 > 도메인* (URL 분석하기-1) >> 호스트 >> 도메인명 >> 상위도메인 > 파일 디렉토리 경로와 파일명* (URL 분석하기-1) > 파라미터/Query String > 플래그먼트/해시태그/앵커 도메인 이미지2. URL의 도메인(domain), 상위도메인, 도메인명, 호스트명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에서, 도메인은 ‘music.naver.com’이며, 도메인은 상위도메인, 도메인이름, 호스트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도메인은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주소를 의미합니다. 도메인 전체에는 국가나 기관의 정보, 그리고 도메인이름과 도메인에 속한 호스트 정보가 기입됩니다. 각 정보는 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music.naver.com/listen/top100.nhn에서, 도메인은 ‘music.naver.com’이며, 도메인은 상위도메인, 도메인이름, 호스트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상위 도메인명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의 ‘music.naver.com’ 도메인에서, 상위도메인명은 ‘com’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가 구분의 예: 캐나다의 구글 사이트: www.google.ca의 ‘ca’한국의 구글 사이트: www.google.co.kr의 ‘kr’| 위키-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https://goo.gl/gewi2Q기관 구분의 예:영리 목적의 기업인 네이버: www.naver.com의 ‘com’비영리 목적인 삼성재단: www.samsungfoundation.org의 ‘org’| 위키- 일반 최상위 도메인: https://goo.gl/py6N6A 도메인명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의 ‘music.naver.com’ 도메인에서, 도메인명은 ‘naver’로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상의 컴퓨터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로 표현되며, 이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를 알기 쉬운 영문으로 표현한 것이 도메인명입니다 호스트명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의 ‘music.naver.com’ 도메인에서, 호스트명은 ‘music’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호스트의 사전적 의미는, 인터넷에 연결된 지역(컴퓨터)의 이름이며 좀 더 쉽게는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 이름, 도메인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ws.naver.com 라는 url에서 도메인이름은 ‘naver.com’이 되며, 호스트명은 naver.com라는 도메인에 속한 ‘news’가 됩니다. 호스트명은 m.news.naver.com에 붙은 ‘m.news’와 같이 2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으며, m.news.naver.com은 new.naver.com 하위에 속한 추가 호스트주소를 갖고 있는 다른 url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파일 디렉토리 경로와 파일명 이미지3. URL의 파일경로와 파일명(file path, file name)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의 해당 페이지는, ‘music.naver.com’ 라는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 서버의 listen라는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top100.nhn 파일로 제공됩니다. 파일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 서버를 기준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속한 폴더명과 파일명이 나타난 경로를 나타냅니다. 이 포스팅은 영리적 사용이 불가하며, 비영리적으로 사용 시 출처를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기
  • 246

URL 분석하기 (2/2)

URL의 단일 페이지를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해 URL의 구성과 각 항목의 특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도메인과 파일디렉토리 및 파일명을 알아본 이전 아티클( https://forum.beusable.net/ko/post/892 )에 이어서, 프로토콜과 파라미터, 플래그먼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1. URL의 구성 요소 URL > 프로토콜* (URL 분석하기-2) > 도메인 >> 호스트 >> 도메인명 >> 상위도메인 > 파일 디렉토리 경로와 파일명 > 파라미터/Query String* (URL 분석하기-2) > 플래그먼트/해시태그/앵커* (URL 분석하기-2) 프로토콜 (Protocol) 이미지2. URL의 프로토콜(protocol)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에서, 프로토콜은 ‘http’ 입니다. 컴퓨터 간 정보를 주고 받을 때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을 표기하는 것입니다.보통 일반적인 url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http와 https 이며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 이미지3. HTT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웹 상에서 정보, 주로 html 문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일반적인 웹 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쓰입니다.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user의 컴퓨터)와 서버(서비를 제공하는 컴퓨터)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 이미지3. HTTPS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으로, 통신에서 주고 받는 요청과 응답 데이터를 일반 텍스트가 아닌 ssl이나 tcl을 통해 암호화 한 세션 데이터로 주고 받습니다.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예로, 로그인이 된 메일 서비스나 은행, 카드 서비스 등)에서 주로 쓰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 (Parameter, Query String) 이미지4. URL의 파라미터(prarameter / 쿼리스트링 query string)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url은, ‘~top100.nhn 페이지를 보여줄때, domain과 duration라는 파라미터의 값을 각각 OVERSEA, 1h로 설정하여 제공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해당 url로, top 100 페이지의 해외:domain=OVERSEA, 1주간:duration=1h 옵션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변적인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 파라미터는 쿼리 스트링이라고도 하며, 정보에 따라서 페이지의 콘텐츠가 가변적일 수 있을 때 많이 사용 합니다.검색 결과 페이지로 예를 들면, 페이지는 하나이지만 검색어에 따라 다른 콘텐츠나 레이아웃으로 구성 됩니다. 페이지 url에서 검색어와 같은 정보를 구분할 수 있도록 url 뒤에 파라미터라는 매개 변수를 추가하여 검색어 정보를 url에 함께 전달합니다. 파라미터는 url 의 파일명 뒤 물음표 이후에 나열이 되며,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세트가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세트는 엔드(&) 기호로 구분됩니다. URL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 한 페이지의 가변적인 콘텐츠를 구분 하긴 위한 정보 외에도, 한 페이지 url를 상황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용도의 추가 정보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url을 여러 매체를 통해 홍보를 하고, 추후에 url에 유입된 사용자가 홍보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인지, 홍보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라면 어떤 매체를 통해 들어왔는지 확인해야 하는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url의 유입 경로를 통해 이전 페이지의 주소는 알 수 있겠지만, 홍보를 통해 들어온 url이라는 정보는 100% 정확하지 않습니다.네이버 검색 결과의 광고 서비스로 예를 들자면, 이전 페이지가 같은 검색 결과 페이지일지라도 홍보를 진행한 상단의 파워링크 영역에서 유입 된 사용자와 하단의 일반 검색 결과에서 유입 된 사용자를 단순히 이전 url만으로는 구분할 수 없습니다.따라서 이와 같은 구분이 필요한 상황에서 url을 배포할 때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파라미터값을 각각 추가하고(ex: 파워링크 영역의 링크에는 ‘…?t=pl’와 같은 파라미터를 추가) 나중에 url에 접근되는 사용자의 파라미터 값을 분석한다면 홍보자가 의도한 바에 맞춰 세밀한 기준으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파일 디렉토리 및 파일명 역할을 하기 위한 정보 파라미터는 동일한 페이지의 일부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 외에도, 파일디렉토리 및 파일이름과 유사한 역할로도 쓰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시) 미디어오늘미디어오늘의 메인 사이트: http://www.mediatoday.co.kr/?mod=main&act=index 미디어오늘의 회사소개 사이트: http://www.mediatoday.co.kr/?mod=company&act=introduce 플래그먼트(Fragment, Hashtag, Anchor) 이미지5. URL의 플래그먼트 (Fragment, 해시태그 Hashtag, 앵커 Ancher) http://music.naver.com/listen/top100.nhn?domain=OVERSEA&duration=1h#content 는,해당 페이지에서 content 영역을 지시하는 페이지입니다.(해당 url로 content 영역으로 스크롤된 페이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래그먼트로 페이지의 특정 요소를 지시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를 이루는 요소 html 태그는 id라는 고유한 속성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url 뒤에 해시태그를 붙인 요소의 id를 붙여서 확인하면, 해당 url 페이지에서 해시태그로 지시한 id 요소를 스크롤 이동 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여러 콘텐츠가 나열 된 페이지의 특정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전달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예시1) https://www.w3.org/TR/WCAG20/#operable WCAG2.0이라는 긴 가이드 문서 중, operable 항목을 지시하고 싶을 때 사용된 경우입니다. 예시2) http://www.kinoz.com/#portfolio 한 개의 긴 페이지에 여러 메뉴의 콘텐츠가 구성된 사이트에서, portfolio 메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된 경우입니다. 이 밖에도, 플래그먼트 또한 해시 라우터로써 파일 디렉토리 및 파일이름과 유사한 역할로 쓰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영리적 사용이 불가하며, 비영리적으로 사용 시 출처를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기
  • 224

Careers

‘#url수집’ 로 태그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다른 태그를 입력해 보세요 :)

Notice

더보기